정책 및 연구동향 -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

정책 및 연구동향

주요기관 정책ㆍ연구 주간동향 (25.8.22)
 
기 관 명 내  용
한국과학기술
단체총연합회(KOFST)
▶ 웹진
- 여름철 불청객 러브버그와 모기, 과학으로 방제한다
 
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
(KISTEP)
 
▶ S&T GPS
- 과학기술&ICT 정책·기술 동향 292호
 
과학기술정책연구원
(STEPI)
▶ 간행물
- [STEPI Insight] 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화 촉진 방안
 
한국산업기술진흥원(KIAT) ▶ 정책간행물
-
[2025년 15호] (통합본) 산업기술 동향워치
- (이슈포커스) 미국 로봇공학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제언
- (산업‧기술동향) 미국, AI 분야 선도국 입지 강화 도모 (美 White House, 7.15)
- (산업‧기술동향) 미·중 로보택시 시장 현황 및 향후 전망 (臺 TrendForce 외, 7.15)
- (산업‧기술동향) ESG를 통한 수익성 향상 사례 (獨 PI 4.0, 7.15)
- (산업‧기술동향) 영국 우주 산업 현황 분석 (英 UKSA, 7.16)
- (정책동향) 미국의 해외 AI 인재 유치 현황 및 각국의 정책 조치 점검 (美 BCG, 7.21)
- (정책동향)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효과 고찰 (美 CEA, 7月)
- (정책동향) 프랑스의 구조적 지원 제도 성과 (佛 DGE, 7月)
- (정책동향) 차세대 원전을 통한 미래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(日 일본정책투자은행, 7.11)
- [이슈페이퍼 2025-01] 글로벌 핵심기술 확보전략 : 11대 초격차 기술별 스타트업 현황 분석
 
한국과학기술한림원(KAST) ▶ 발간물 (한림원 2024 석학커리어디시전스)
-
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고성능 이차전지용 층상계 양극재 개발 방향
- AI와 로봇 시대의 적정기술
-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의 신소재 개발과 상업화를 향한 정책 제언
- 인공위성 발전과 미래 수자원 관리
- 규제 연계 식품안전 기술 확보 방안
- 광유전학 혁신을 위한 정책제언: 기초연구부터 응용까지
- 세계적 수준의 나노기술 연구: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의 결실
 
▶ 행사
-
[과총-한림원 공동] 이공계 인재 강국 제1차 연석회의(8/26)
 
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
(KEIT)
▶ 간행물
-
KEIT 이슈픽 2025-8월호 : 탄소저감기술-세라믹, 조선해양
-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-8월 3주차 HBM(High Bandwidth Memory)
- [KEIT TRENDLINE] 2025-10. 기술주권 시대의 전략적 산업R&D정책
 
한국과학창의재단
(KOSAC)
▶ 동향리포트
-
美 일리노이주, 학업성취도 시험 기준 전면 개편
- 美 대학가, AI 학위 과정 ‘급증’
- 중국-EU 청년 과학자 교류 프로그램 추진
- 인도네시아, 국가 수리력 운동 출범
- 태국, '2025 국립 과학기술 박람회' 개최
 
▶ 보고서
-
과학문화 매거진 WAVE 2호
 
정보통신정책연구원
(KISDI)
▶ 행사
-
[과학기술정보통신부] ‘스마트클라우드쇼 2025’ 행사 안내(8/27)
 
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
(KETEP)
 
▶ 행사
-
KETEP 2025 초격차 클리마[Clima] Day 행사(9/3)
 
한국개발연구원(KDI) ▶ 행사
-
2025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(9/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