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기 관 명 | 내  용 | 
		
			|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(KOFST)
 | ▶ 간행물 - 강철의 미래에 대한 ‘깊은 통찰’··토크콘서트 ‘과학, 시대를 잇다’
 
 ▶ 행사
 - [과총포럼] 딥시크 쇼크, 국가 AI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(2/28)
 
 | 
		
			|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(KISTEP)
 | ▶ 보고서 - 2024년 지역 R&D 실태조사
 - 2024년 지방과학기술 연감
 - 2024년 과학기술 분야 R&D 제도 혁신 기반 연구
 - 무기체계의 효과적인 확보를 위한 국방R&D 투자전략 연구 - 유도무기체계를 중심으로 -
 - 정부R&D 등록·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연구
 - 2024년도 과학기술혁신정책 핵심이슈 발굴 및 인텔리전스 기능강화 연구
 - 2024년 이슈페이퍼 및 정책브리프 발간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방안 연구
 - 국가연구개발사업 간접비 산출 및 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
 - 제5차 국가연구개발 성과관리·활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연구
 
 ▶ S&T GPS
 - 과학기술&ICT 정책·기술 동향 280호
 
 | 
		
			| 과학기술정책연구원 (STEPI)
 | ▶ 간행물 -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현황과 과제
 
 ▶ 보고서
 - AI 반도체 및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
 -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(CSTP), 기술혁신정책작업반(TIP) 및
 글로벌과학포럼(GSF) 활동 참여 및 조사·분석(2024년)
 - OECD 바이오나노융합기술작업반(BNCT) 활동 참여 및 지원(2024년)
 - 「2024년 실험실창업 실태조사 연구」 용역
 
 | 
		
			| 한국산업기술진흥원(KIAT) | ▶ 정책간행물 - 피벗(Pivot)의 시대, 2025 산업기술 정책아젠다
 - 트럼프 2.0 출범에 따른 산업기술정책 아젠다
 
 | 
		
			|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(KEIT)
 | ▶ 발간물 - KEIT 이슈픽 2025-1~2월호 통합본(산업기술R&D 24년 연구개발성과 및 25년 추진계획)
 -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-2월 4주차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
 - [KEIT TRENDLINE] 2025-02. CES 2025와 KEIT R&D 지원방향
 - [KEIT TRENDLINE] 2025-03. 국내외 휴머노이드 R&D 동향과 미래전망
 
 | 
		
			| 한국연구재단(NRF) | ▶ 보고서
 - 2024년도 과학기술정책 이슈 대응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
 - 국내 부처별 학문분류체계 현황 조사 및 학문분류 간 통합적·합리적 운영 방향 연구
 
 | 
		
			|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(KISTI)
 | ▶ 보고서 - 미·중 기술패권과 트럼프 2기: 바이오 기술의 게임체인저 전략
 - Market Insight 293 : 자동차 필터
 - Market Insight 292 : 무색 폴리이미드 필름
 
 | 
		
			| 한국과학창의재단 (KOSAC)
 | ▶ 보고서 - 2024년 과학교육 데이터북
 - 미래사회 혁신 선도 과학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조사 분석 중간보고서
 
 ▶ 동향리포트
 - 과기부, 중·장기 정책에 근거한 R&D 투자 강화
 - 일본, 2040년 온실가스 감축 및 개정 에너지 정책 발표
 - 아·태지역 과학기술 정책 협력 추진
 - 영국, 시민 주도의 디지털 권리 및 원칙 선언 채택 촉구
 
 | 
		
			| 한국개발연구원(KDI) | ▶ 보고서 -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 방향
 
 ▶ 행사
 - 한국은행-KDI 노동시장 세미나 :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대응 방안(3/5)
 - 개발도상국과의 에너지ㆍ인프라 분야의 양자협력 세미나(3/7)
 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