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문의제 -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
1. 기후변화 대응 - 위기는 곧 기회!
- 기후변화 대응은 현실로 다가온 문제('12년 미국은 기상이변으로 100조원 사회적 비용 부담)
-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 가시화로 기후변화 대응 시장 급속히 확대
2.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기회를 잡을 것인가?
- (기후변하 대응) 화석연료 대체, 에너지 소비 효율화, 온실가스 처리, 적응 등 필요
- (성장 동력확보) 우리가 잘 할 수 있고 산업 파급효과가 큰 기술에 선택과 집중
3. 6대 핵심기술 개발전략
① 태양전지
- 실리콘 태양전지 가격 경쟁력 확보
-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로 기존시장 대체 및 신시장 창출
② 연료전지
- 세계 최고의 연료전지 양산기술 개발로 수송용 연료전지 시장 선점
- 대용량·고효율 연료전지 시스템 개발로 화력발전 비중을 절감
③ 바이오 에너지
- 바이오 에너지 원료수급 및 경제성 확보로 석유 사용량 저감
- 국내 석유화학 산업+해외 바이오 자원을 활용한 신산업 창출
④ 이차전지
- 휴대폰, 친환경 자동차 등의 기술혁신 유도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
- 안정적 예비전력 확보를 위한 대용량 이차전지 개발·사용화
⑤ 전력 IT
- ICT 기술을 활용한 에너지 낭비 제로화
- 에너지 자립율 100%를 위한 발전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
⑥ 이산화탄소 포집&처리 장치
- CCS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고 탄소 배출권 시장을 CCS 기술로 흡수
- 체계적인 실증연구를 통한 CCS 수출모델 적기 확보
4. 가시적 성과창출 방안
- 정부 R&D 전략적 확대로 민간투자 유도
- 기업수요 기반형 R&D 과제 추진 및 산·학·연 공동연구 강화
- (인프라 확충) 국내 표준마련, 인증제 도입, 테스트베드 구축 등
- (사업화 촉진) 보급사업, 금융지원 등과 연계하여 사업화 지원
- (전략적 국제협력 강화) 자원 확보 및 기술 수출을 위한 상호 협력체계 구축
5. 6대 핵심기술 개발 기대효과(2020년)
- 화석연료 대체 및 온실가스 처리를 통해 이산화탄소 1,200만톤 감축
- 에너지 소비 효율화를 통해 건물·가정·수송 분야 배출 온실가스 저감
- (기술경쟁력) '12년 83% → '20년 93.4%
- (매출액) '12년 13조원 → '20년 217조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