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문의제 -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
1. 보고배경
- 농업은 국가 존립의 필수 산업, 미래 성장 산업
- 기술농업 실태 진단을 통한 새로운 도약 필요
2. 우리의 농업
- 농업 규모 축소 및 고령화 심화 우려
- 최근 귀농·귀촌 급증, 교육수준 향상 등 고부가가치 기술농업 전환 기대
3. 현장의 목소리
- (도시인) "은퇴 후, 귀농하고 싶어요" "삶의 질을 위해 귀농을 고려중이나, 직접 고된 농사는 하고싶지 않아요"
- (농업인) "자동화·첨단시설 초기투자 부담도 크고, 생산성이 나아질지 잘 모르겠어요" "농기계가 없어서 밭농사는 너무 힘들어요"
- (농산업체) "R&D 이후 현장 실증, 양산 과정에도 연구가 필요한데, 정부 지원 부족해요" "기술 집약 농업 벤처에 대한 지원이 부족해요"
4. 농업 과학기술 수준은 높으나...
- 농산업체 영세, R&D의 현장 파급력 부족, R&D 투자 및 기술 수준 증대
5. 과학기술기반 농업 혁신 방향은...
- 생산성 향상, 부가가치 창출, 개방형 혁신 등을 통해 농업 생태계 개선 및 농작업 어려움 해소
6. 구제적인 전략은...
- (생산성 향상)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을 통한 글로벌 진출 역량 확보, 밭작물 농기계 긴급 실용화로 노동부담 경감 및 농산업 육성
- (부가가치 창출) 농산 부산물 활용형 친환경에너지타운 구축, 기술집약 농업벤처 성공모델 확산
- (개방형 혁신) 개방형 Flagship 프로젝트 추진을 통한 창조농업 혁신 가속
7. 기대효과 (2017년까지)
- 스마트팜 보급 8,000농가, 밭농사 기계화율 65%
- 농축산부산물 에너지화 1%, 경제적 파급효과 5조 700억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