회의결과 -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
Ⅰ. 회의 개요
ㅇ (일 시) 2016. 8.19(金), 16:00~18:00 (120분)
ㅇ (장 소)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 (광화문 KT빌딩 West, 12층)
ㅇ (참석자) 자문위원·전문위원 및 BH·미래부·지원단 등 50여명
- 자문위원(21인), 전문위원(1인), BH·미래부(4인), 지원단(24인) 등
ㅇ (회의 안건) 차기 의제 분과별 활동 보고 및 VIP 대면보고 의제 선정
- (과학기술기반) 과학기술 협업과 혁신(부처·글로벌·민군 협업)
- (미래전략) 유해환경 피해 예방 및 대응 전략
- (창조경제)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국가과학기술전략
Ⅱ. 회의 개최결과
□ (과학기술기반) 과학기술 협업과 혁신
ㅇ 과학기술 협업과 혁신에서 제안한 내용들은 방법론에 대한 것이므로 향후 다른 의제에
포함하여 제안하는 것이 바람직
□ (미래전략) 유해환경 피해 예방 및 대응 전략
ㅇ 유해 화학물질 대체 기술개발, 유해물질?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화학물질의 인체 영향
조사 등을 포함할 필요
ㅇ 화학물질 관리, 규제 강화는 산업경쟁력 및 연구현장에서의 연구 축소 등을 야기할 수
있으므로 산업계의 다각적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 필요
ㅇ 유해물질 외 감염병 등 우리가 향후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과학기술적
해결 방안 및 예방에 대한 전반적 대책을 제안
□ (창조경제)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국가과학기술전략
ㅇ 지금과는 다른 직업 및 인력 스킬의 변화 등이 요구되므로 현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
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책방안 제시
- 2050년에는 70%이상이 1인 기업, 프리랜서의 직업을 가지게 될 것이므로 미래사회
변화에 따른 국가 정책 방안 제언 필요
- 인력양성 방안 마련 시 이학계열과 공학계열을 하나로 묶어서 분석하기 보다는
두 계열을 나누어 각각의 차별화된 정책 제언 필요
ㅇ 연구기획과 연구수행 시 요구되는 역량이 상이하므로 연구공동체에 어떤 역할과 역량을
요구할지에 대한 내용이 구체화될 필요
ㅇ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정책방향, 지향점을 분명히 할 필요
- 제시된 내용이 추상적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대책 방안 제시 필요